Vision-AI with Edge AI, We are CLEVERUS

Vision AI 기술로

Vision AI 기술로

분야를 혁신합니다

분야를 혁신합니다

인공지능 전문성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AI 전문 솔루션 기업

AI

, Be:Clever


Be:Clever

AI
정확한 알람으로 사고를
정확한 알람으로 사고를
탐지 및 예방
탐지 및 예방
합니다

Be:Clever 제품 구성

Be:Clever 제품 구성

실시간 대시보드 + 모바일 (태블릿 전용) App + 엣지 디바이스

  1. 실시간 대시보드

  2. 모바일 (태블릿 전용) App

  3. 엣지 디바이스

Dashboard
Dashboard
Be:Clever 사고예방 사례
Be:Clever 사고예방 사례
Be:Clever 사고예방 사례

낙상이 발생하기 전 사고를 예방합니다

CCTV와 동일한 관제 기능

Complete CCTV Usage

CCTV 규제 준수인 FHD 화소 및 60일이상 모니터링 영상 저장 가능으로 다양한 옵션 구비

Edge AI 기반 모니터링

서버 비용 0원

폐쇄망 & 외부망

태블릿 동시 알람

개인정보보호

Edge AI-based Monitoring

경량 AI, 폐쇄망 및 외부망 동시 운영, 개인정보보호 등 수준높은 모니터링 경험 제공

실시간 이상행동 탐지 및 추적

Real-Time Detection & Tracking

낙상, 병상이탈 등 환자의 이상행동을 실시간 감지하여 5초 내 의료진에게 알림을 전송

Be:Clever 핵심 기능

Be:Clever 핵심 기능

Be:Clever 성과 통계

Be:Clever 성과 통계

안전사고 탐지횟수

1000 +

안전사고를 감지하고 예방한 사례

안전사고 탐지횟수

1000 +

안전사고를 감지하고 예방한 사례

안전사고 탐지횟수

1000 +

안전사고를 감지하고 예방한 사례

실제 낙상 감소율

30 %

낙상 사고를 실질적으로 줄인 효과

실제 낙상 감소율

30 %

낙상 사고를 실질적으로 줄인 효과

실제 낙상 감소율

30 %

낙상 사고를 실질적으로 줄인 효과

문의사항 처리시간

10분 ▼

고객 문의에 대한 신속한 대응 속도

문의사항 처리시간

10분 ▼

고객 문의에 대한 신속한 대응 속도

문의사항 처리시간

10분 ▼

고객 문의에 대한 신속한 대응 속도

도입 및 PoC 기관

10 +

병원·기관에서 검증 및 활용 중

도입 및 PoC 기관

10 +

병원·기관에서 검증 및 활용 중

도입 및 PoC 기관

10 +

병원·기관에서 검증 및 활용 중

국가사업 및 지원사업

12 +

국책과제, 지원사업, 전시지원 등 다양한 사업에 선정

국가사업 및 지원사업

12 +

국책과제, 지원사업, 전시지원 등 다양한 사업에 선정

국가사업 및 지원사업

12 +

국책과제, 지원사업, 전시지원 등 다양한 사업에 선정

지원금액 & 사업금액 유치

8.2억 +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지원 확보

지원금액 & 사업금액 유치

8.2억 +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지원 확보

지원금액 & 사업금액 유치

8.2억 +

지속적인 연구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지원 확보

Vision AI

Vision AI
Vision AI
Vision AI
고객사들의 니즈를 반영한
고수준 AI
고수준 AI
를 개발합니다
를 개발합니다

의료 영역

의료 영역

당뇨 족부병증 예측 AI

당뇨 족부병증 예측 AI
당뇨 족부병증 예측 AI

당뇨 환자분들의 건강 관리를 위한 AI 시스템입니다. 간편하게 핸드폰으로 촬영하여 당뇨의 심각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분들의 건강 관리를 위한 AI 시스템

바이오 영역

바이오 영역

세포 활동성 추적 AI

세포 활동성 추적 AI
세포 활동성 추적 AI

세포들의 활동성을 추적하는 AI 시스템입니다. 타겟 세포의 위치를 인지하고 추적하여 활동성과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세포들의 활동성을 추적하는 AI 시스템

헬스케어/보험 영역

헬스케어/보험 영역

진료 데이터 기반
최적 치료 설계 AI

진료 데이터 기반
최적 치료 설계 AI
진료 데이터 기반
최적 치료 설계 AI

병원 기관들의 진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병원 기관들의 진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치료를 위한 정보를 제공

안전 영역

안전 영역

산업 현장 안전진단 AI

산업 현장 안전진단 AI
산업 현장 안전진단 AI

산업 현장의 안전을 위해 안전장비와 화재 발생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습니다.

산업 현장의 안전 (안전장비 & 화재) 대비

교육 영역

교육 영역

K-DT 교육 출강

K-DT 교육 출강
K-DT 교육 출강

뛰어난 인공지능 및 데이터 분석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K-DT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AI 교육에 출강하여 국내 AI 발전에 기여합니다.

K-DT 사업으로 진행되는 AI 교육 출강

진행 중인 사업영역

진행 중인 사업영역

도메인 + X
예술, 교통, 헬스케어, …

도메인 + X
예술, 교통, 헬스케어, …
도메인 + X
예술, 교통, 헬스케어, …

다양한 도메인과 협업하며, 끊임없이 발전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다양한 도메인과 협업하며

끊임없이 발전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조선대병원,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심포지엄 ‘성료’

조선대병원이 주최한 ‘2025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방안 및 협력모델 공유 심포지엄’이 최근 광주 라마다플라자 충장호텔에서 개최됐다.

6일 조선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 활성화와 민관 협력모델 확산을 위해 마련됐으며 의료기관 관계자, 연구자, 산업계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조선대병원 김진호 병원장과 고재웅 의생명연구원장의 인사말로 시작됐으며 보건의료 빅 데이터의 국가 전략 방향부터 실제 병원·기업 간 협력 사례까지 다양한 주제의 발표가 이어졌다.

정집민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단장은 ‘국가 의료 연구 지원 방향과 트렌드’를 주제로 보건의료 데이터 인공지능(AI) 혁신 전략과 활성화 방향을 공유했고,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교수는 ‘Medical Domain에서의 LLM(Large Language Models : 대규모 언어모델)의 활용과 전망’을 발표했다.

박우진 광주테크노파크 센터장은 ‘광주 메디헬스케어 산업의 현황과 사례’를 설명하며 지역 기반 디지털 메디헬스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조용진 조선대병원 K-Health AI 사업센터 센터장은 ‘K-Health 사업의 데이터셋 구축 사례’를 발표해 호응을 얻었다.

발표 이후에는 최남규 조선대병원 부원장의 사회로 전문가 토론이 진행돼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의 발전 방향과 산업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심포지엄에서는 조선대병원이 추진 중인 임상연구정보검색시스템(Clinical Data Warehouse·CDW) 구축 사업의 착수보고도 이뤄져 참석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김진호 조선대병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활용을 통한 연구협력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국가의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는 조선대병원 K-Health 사업센터와 광주테크노파크가 공동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광주시가 주관했다.

이날 클레버러스는 K-Health 과제 관련 CDW 성과보고를 진행하였다.

출처 : 광주매일신문(http://m.kjdaily.com/article.php?aid=1746529711655574032)

Press

Apr 30, 2024

조선대병원,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심포지엄 ‘성료’

조선대병원이 주최한 ‘2025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방안 및 협력모델 공유 심포지엄’이 최근 광주 라마다플라자 충장호텔에서 개최됐다.

6일 조선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 활성화와 민관 협력모델 확산을 위해 마련됐으며 의료기관 관계자, 연구자, 산업계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조선대병원 김진호 병원장과 고재웅 의생명연구원장의 인사말로 시작됐으며 보건의료 빅 데이터의 국가 전략 방향부터 실제 병원·기업 간 협력 사례까지 다양한 주제의 발표가 이어졌다.

정집민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단장은 ‘국가 의료 연구 지원 방향과 트렌드’를 주제로 보건의료 데이터 인공지능(AI) 혁신 전략과 활성화 방향을 공유했고,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교수는 ‘Medical Domain에서의 LLM(Large Language Models : 대규모 언어모델)의 활용과 전망’을 발표했다.

박우진 광주테크노파크 센터장은 ‘광주 메디헬스케어 산업의 현황과 사례’를 설명하며 지역 기반 디지털 메디헬스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조용진 조선대병원 K-Health AI 사업센터 센터장은 ‘K-Health 사업의 데이터셋 구축 사례’를 발표해 호응을 얻었다.

발표 이후에는 최남규 조선대병원 부원장의 사회로 전문가 토론이 진행돼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의 발전 방향과 산업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심포지엄에서는 조선대병원이 추진 중인 임상연구정보검색시스템(Clinical Data Warehouse·CDW) 구축 사업의 착수보고도 이뤄져 참석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김진호 조선대병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활용을 통한 연구협력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국가의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는 조선대병원 K-Health 사업센터와 광주테크노파크가 공동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광주시가 주관했다.

이날 클레버러스는 K-Health 과제 관련 CDW 성과보고를 진행하였다.

출처 : 광주매일신문(http://m.kjdaily.com/article.php?aid=1746529711655574032)

Press

Apr 30, 2024

조선대병원,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심포지엄 ‘성료’

조선대병원이 주최한 ‘2025 의료 데이터 연구 활성화 방안 및 협력모델 공유 심포지엄’이 최근 광주 라마다플라자 충장호텔에서 개최됐다.

6일 조선대학교병원에 따르면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 활성화와 민관 협력모델 확산을 위해 마련됐으며 의료기관 관계자, 연구자, 산업계 전문가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조선대병원 김진호 병원장과 고재웅 의생명연구원장의 인사말로 시작됐으며 보건의료 빅 데이터의 국가 전략 방향부터 실제 병원·기업 간 협력 사례까지 다양한 주제의 발표가 이어졌다.

정집민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단장은 ‘국가 의료 연구 지원 방향과 트렌드’를 주제로 보건의료 데이터 인공지능(AI) 혁신 전략과 활성화 방향을 공유했고, 육현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교수는 ‘Medical Domain에서의 LLM(Large Language Models : 대규모 언어모델)의 활용과 전망’을 발표했다.

박우진 광주테크노파크 센터장은 ‘광주 메디헬스케어 산업의 현황과 사례’를 설명하며 지역 기반 디지털 메디헬스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조용진 조선대병원 K-Health AI 사업센터 센터장은 ‘K-Health 사업의 데이터셋 구축 사례’를 발표해 호응을 얻었다.

발표 이후에는 최남규 조선대병원 부원장의 사회로 전문가 토론이 진행돼 의료 데이터 기반 연구의 발전 방향과 산업협력 확대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심포지엄에서는 조선대병원이 추진 중인 임상연구정보검색시스템(Clinical Data Warehouse·CDW) 구축 사업의 착수보고도 이뤄져 참석자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김진호 조선대병원장은 “이번 심포지엄은 의료 데이터 활용을 통한 연구협력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지역과 국가의 디지털 헬스케어 생태계 조성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행사는 조선대병원 K-Health 사업센터와 광주테크노파크가 공동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과 광주시가 주관했다.

이날 클레버러스는 K-Health 과제 관련 CDW 성과보고를 진행하였다.

출처 : 광주매일신문(http://m.kjdaily.com/article.php?aid=1746529711655574032)

Press

Apr 30, 2024

클레버러스 2025년도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 2회 연속 참가 (KIMES 2025)

인공지능(AI) 기반 이상행동 모니터링 기술을 선도하는 스타트업 '클레버러스(Cleverus)'가 지난 2025년 3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5)에 참가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병원용 모니터링 솔루션 'BE:CLEVER'와 가정용 돌봄 솔루션 'BE:SAFE'를 선보이며, 고령 환자 및 독거노인을 위한 AI 기반 안전 관리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BE:CLEVER'는 어안렌즈 카메라와 엣지 AI 기술을 활용하여 병실 내 환자의 이상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낙상 등 위험 상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포항 세명기독병원, S서울병원 등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솔루션입니다.

또한, 'BE:SAFE'는 가정에서도 고령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솔루션으로,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KIMES 2025 참가를 통해 국내외 의료기관 및 헬스케어 제공자와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환자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 에이빙뉴스 : 클레버러스, KIMES 2025서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선보인다... “첨단 AI 기술과 실질적 헬스케어 요구 연결”

- 동아사이언스 : 올라서면 하체 근력 강화…낙상 위험 높은 고령층 위한 스마트 의료기기 '봇물'

- 청년의사 : 의료 AI 기업들, ‘KIMES 2025’를 의료 현장 진출 교두보로


Press

Apr 30, 2024

클레버러스 2025년도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 2회 연속 참가 (KIMES 2025)

인공지능(AI) 기반 이상행동 모니터링 기술을 선도하는 스타트업 '클레버러스(Cleverus)'가 지난 2025년 3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5)에 참가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병원용 모니터링 솔루션 'BE:CLEVER'와 가정용 돌봄 솔루션 'BE:SAFE'를 선보이며, 고령 환자 및 독거노인을 위한 AI 기반 안전 관리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BE:CLEVER'는 어안렌즈 카메라와 엣지 AI 기술을 활용하여 병실 내 환자의 이상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낙상 등 위험 상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포항 세명기독병원, S서울병원 등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솔루션입니다.

또한, 'BE:SAFE'는 가정에서도 고령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솔루션으로,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KIMES 2025 참가를 통해 국내외 의료기관 및 헬스케어 제공자와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환자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 에이빙뉴스 : 클레버러스, KIMES 2025서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선보인다... “첨단 AI 기술과 실질적 헬스케어 요구 연결”

- 동아사이언스 : 올라서면 하체 근력 강화…낙상 위험 높은 고령층 위한 스마트 의료기기 '봇물'

- 청년의사 : 의료 AI 기업들, ‘KIMES 2025’를 의료 현장 진출 교두보로


Press

Apr 30, 2024

클레버러스 2025년도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 2회 연속 참가 (KIMES 2025)

인공지능(AI) 기반 이상행동 모니터링 기술을 선도하는 스타트업 '클레버러스(Cleverus)'가 지난 2025년 3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전시회(KIMES 2025)에 참가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전시회에서 병원용 모니터링 솔루션 'BE:CLEVER'와 가정용 돌봄 솔루션 'BE:SAFE'를 선보이며, 고령 환자 및 독거노인을 위한 AI 기반 안전 관리 기술을 소개했습니다.

'BE:CLEVER'는 어안렌즈 카메라와 엣지 AI 기술을 활용하여 병실 내 환자의 이상행동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낙상 등 위험 상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알림을 전송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포항 세명기독병원, S서울병원 등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솔루션입니다.

또한, 'BE:SAFE'는 가정에서도 고령자의 안전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솔루션으로,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의 사고를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클레버러스는 이번 KIMES 2025 참가를 통해 국내외 의료기관 및 헬스케어 제공자와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고령화 사회에 대응하는 혁신적인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강조하며, 환자의 안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 에이빙뉴스 : 클레버러스, KIMES 2025서 AI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선보인다... “첨단 AI 기술과 실질적 헬스케어 요구 연결”

- 동아사이언스 : 올라서면 하체 근력 강화…낙상 위험 높은 고령층 위한 스마트 의료기기 '봇물'

- 청년의사 : 의료 AI 기업들, ‘KIMES 2025’를 의료 현장 진출 교두보로


Press

Apr 30, 2024

Dream your Vision AI from today

Dream your Vision AI from today

Dream your Vision AI from today